우리 대학교(총장 장순흥)는 우리나라에 단 두 개밖에 없는 외국어 특성화 대학 중 하나다. 수도권 밖으로 범위를 한정하면 외국어 특성화 대학은 부산외대가 유일하다. 총 17개 외국어 전공을 운영 중인 우리학교는 2025학년도 1학기부터 히브리어 전공을 새롭게 도입했고, 향후 33개 언어 전공을 새롭게 개설함으로써 전국 대학 중 최다 외국어 전공을 보유하게 된다.
우리학교는 2025년 현재, 502개 해외 대학과 교환학생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이 같은 글로벌 인프라를 바탕으로 우리학교는 재학생에게 해외 유학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한다. ‘2+2 해외 복수학위 취득제’, ‘3+1, 7+1 해외 장단기 수학제’, ‘SAP 해외 영어 학기제’ 등 프로그램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자의 여건에 맟춰 선택할 수 있다. 전공에 관계없이 재학생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매력적이다.
특히 올해는 ‘언어와 AI의 융합’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며, 비수도권 대학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육성하는 교육부 ‘2025 글로컬대학 30’ 공모사업에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돼 학교 안팎의 기대가 더욱 크다.
실리콘밸리 창업 경험, 실무형 해외 프로그램
‘스스로 좋은 문제를 발견하고 함께 힘을 모아 최선의 해결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 부산외대가 강조하는 ‘PSC(Problem Self Learning) 교육’의 요체다. 이 같은 교육 철학은 부산외대의 실무 체험형 해외 프로그램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장순흥 총장은 직접 학생들을 인솔해 미국 실리콘밸리 현장에서 직접 창업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실리콘밸리 외성 해외 창업 실습 및 인턴십」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세계 최고의 창업 환경에서 창업 생태계를 직접 경험하고 최신 트렌드의 성공 사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취지이다.
우리 지역 기업의 브랜드와 제품을 클라이언트로 설정하고 해외 시장을 직접 개척해 보는 「글로벌 마케터 체험단」 또한 문제해결능력 교육 중심의 현지 실무형 해외 프로그램 중 하나다. 「글로벌 마케터 체험단」에 참여한 학생들은 팀을 이루어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해외 현지로 직접 날아가 시장 조사와 바이어 미팅 등 생생한 실무 과정을 체험하게 된다.
실무형 해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소감을 들어 보면 상당히 긍정적이다. 현지에서의 실무 체험은 물론 국내에서의 준비 과정 또한 매우 값진 경험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실무형 해외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해외 취업과 창업에 관심이 생겼다는 학생도 많았다.
‘지구 세대(Earth Generation)’를 표방하는 우리학교의 주요 비전 중 하나는 전 세계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기관이 되는 것이다. 그 실천 중 하나로 16년째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외성 챌린지 해외 봉사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우리학교 재학생으로 구성되는 해외 봉사활동단은 현지인을 위한 집 짓기, 낙후된 학교 시설 개보수, 교육 및 문화 교류 등의 활동을 한다. 올해는 몽골 울란바토르 밝은미래학교를 위해 34명의 우리학교 재학생이 구슬땀을 흘렸다.
16년 이어온 개발도상국 대상 해외 봉사활동
더불어 몽골 울란바토르의 맑은미래학교에 29번째 글로벌협력센터를 열었다. 이로써 우리학교는 미국, 베트남, 인도,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등 17개국에 총 29개의 글로벌협력센터를 구축하게 됐다. 우리학교는 전 세계 100개 글로벌협력센터 구축을 목표로 국제 교류 및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